8월, 2025의 게시물 표시

물'티슈'니까 종이겠지? 아니!

이미지
헤럴드경제신문의 <지구 뭐래?>라는 시리즈글에 물티슈 관련 내용이 실려서 공유해 봅니다. 기사 내용은 아래 링크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mbiz.heraldcorp.com/article/10554470 “진짜 이게 물티슈야?” 보고도 못 믿겠다…무심코 쓴 혹독한 대가 [지구, 뭐래?] - 헤럴드경제, 김상수 기자] mbiz.heraldcorp.com 식품의약품안전처 자료에 따르면, 음식점 등 식품접객업소에서 사용하는 일회용 물티슈의 작년 총 생산액은 565억 원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했다고 합니다. 플라스틱 사용을 줄여야 한다는 사회적 흐름과 달리, 물티슈 사용은 되레 크게 늘고 있다는 것이지요. 2021년 387억 원에서 3년 만에 565억 원으로 늘어난 걸 보면 그 증가세가 분명합니다. 관련해 생각해볼 점은 세 가지입니다. 하나. 일회용 물티슈 사용은 늘어난 반면, 재사용이 가능한 ‘위생물수건’은 크게 줄고 있습니다. 위생물수건은 세척·살균·소독 등 위생적 방법을 거쳐 다시 사용하는 물수건인데, 작년 생산액은 전년 대비 15.2% 줄어든 84억 원에 그쳤습니다. 업체 수도 매년 줄어, 2019년 265개에서 지난해 180개로 감소했다고 합니다. ‘재사용·재활용’이라는 가치보다 ‘간편함’을 선택하는 소비 성향을 엿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둘. 물티슈와 달리 소비가 줄어든 일회용품들도 많습니다. 일회용 컵(-3%), 빨대(-12.8%), 젓가락(-28.5%), 이쑤시개(-28.6%) 모두 감소했습니다. (식약처 자료) 같은 ‘간편함’을 주는 물건이라도, 규제나 소비자 의식 변화가 있다면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그렇다면 물티슈 역시 충분히 줄일 수 있지 않을까요? 그런데 오히려 “재사용 수건보다 물티슈가 위생적이다”, “물티슈에도 친환경 제품이 있다”는 식의 인식이 확산되면서, 소비자들이 마음 놓고 물티슈를 쓰도록 만드는 그린워싱적 장치가 작동하고 있는 건 아닐까요? 셋. 가장 심각한 문제는 물티슈를 휴지처럼 ‘변...

부림제지, ‘유익한하루 페스티벌’과 함께 지속가능한 실천을 나누다

이미지
내일(8월 23일), 순천 조곡동 복합문화공간 유익한상점에서 **“유익한하루 페스티벌”**이 열립니다. 이번 페스티벌은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과 환경을 위한 작은 실천을 모토로, 다양한 로컬 브랜드와 친환경 활동가들이 모이는 뜻깊은 자리입니다. 핵심 프로그램 ‘밀크런(Milk-Run)’ 페스티벌의 하이라이트는 **친환경 러닝 프로그램 ‘밀크런’**입니다.  참가자들은 순천 동천 일대를 달리며, 지정된 ‘밀크로드 파트너 매장’에서 우유팩을 직접 수거합니다. 단순한 러닝을 넘어 지역 내 자원 순환을 체험하고, 건강과 환경을 동시에 지키는 새로운 방식입니다. ‘밀크런’에는 달리는 사진가 최진성 작가와 순천러닝크루가 함께하며, 초보자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2km·4km·5km 코스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참가자 전원에게는 **부림제지가 만든 여행휴지**와 함께 **‘유익한 하루 쿠폰’(2,000원)**이 제공됩니다. 부림제지도 함께합니다 우유갑을 되살려 만든 친환경 재활용 휴지의 가치를 알리고, 더 많은 분들과 환경을 위한 실천을 나누기 위해 부림제지가 공식 후원사로 참여합니다. 특히, 밀크런을 통해 수거된 우유갑들은 부림제지의 코주부 우유갑되살림휴지로 재탄생합니다. 행사에 오시는 분들께는 **여행과 일상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부림제지 여행용 휴지’**도 증정할 예정입니다. 환경은 혼자가 아니라, 함께 지킬 때 더 큰 변화가 있습니다 유익한상점과 유익컴퍼니, 그리고 지역 시민들과 함께하는 이번 페스티벌이 우리 모두의 친환경 여정에 즐거운 동반자가 되기를 바랍니다. 부림제지는 앞으로도 **‘나무 대신, 우유갑’**이라는 약속을 지키며, 생활 속 친환경을 실천하는 다양한 활동에 앞장서겠습니다. 유익한하루 페스티벌 일시: 2025년 8월 23일(토) 오후 3시~9시 장소: 순천 조곡동 복합문화공간 유익한상점 일원 #유익한상점 #유익한하루 #유익컴퍼니 #유익한하루페스티벌 #부림제지 #환경소비 #책임소비 #우유갑되살림

이번주 목/금은 택배없는 날

이미지
8월 14일·15일, ‘택배 없는 날’ 배송 안내 '택배 없는 날'은 2020년 고용노동부와 한국통합물류협회, 주요 택배사가 모여 ‘택배 종사자의 휴식 보장을 위한 공동 선언’을 발표하며 매년 8월 14일을 휴무일로 정한 택배업계의 공동 약속입니다. 택배기사의 혹서기 건강 보호, 추석 성수기 전 재충전, 가족과 함께하는 여름휴가라는 세 가지 목적을 충족하도록 일괄 휴무를 권고해 오고 있습니다. 올해도 광복절을 앞두고, 8월14일(목)과 15일(금)은 택배가 잠시 쉽니다. 이 기간 동안은 택배 발송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8월 13일(수) 이후 주문 건은 8월 18일(월)부터 순차 발송됩니다. 특히 올해는 주말이 연속되어 다소 배송지연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객님들의 너른 이해 부탁드립니다. #택배없는날 #배송지연 #택배지연 #광복절 #광복절연휴

무심코 사용하는 ‘종이타월과 휴지’…얼마나 많은 탄소를 낼까?

이미지
무심코 사용하는 ‘종이타월과 휴지’…얼마나 많은 탄소를 낼까? 무심코 사용하는 ‘종이타월과 휴지’…얼마나 많은 탄소를 낼까? 우리가 일상에서 손을 닦고, 휴지를 사용하고, 쓰레기통에 던지는 행동 하나하나가 **환경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생각해 보신 적 있나요? 헤럴드경제신문이 기후테크 기업 오후두시랩에 의뢰해 발표한 화장실 내 일회용품 사용 실태에 따른 탄소배출량 비교 결과(2025/07/23)를 공유해 봅니다. 현명한 휴지소비 문화와 휴지상식에도 참고가 될만한 자료입니다. >>  https://m.news.nate.com/view/20250723n35000 작은 습관이 부르는 큰 탄소발자국 종이타월 1장 = 탄소 7.75g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을 반영한 수치 / 일반적으로 2~3장을 사용하는 경우 1회 이용 시 탄소배출량15.5g 이상) (참고)손건조기 1회 사용 시 탄소배출량 = 4.3g 공중화장실에서 하루 1,000명이 종이타월을 쓰면? 손건조기 대신 종이타월을 사용하는 공중화장실에 하루 1,000명이 방문할 경우, 약 11.2kg의 탄소가 추가 배출 일회용 플라스틱 컵 169개를 생산·폐기하는 것과 비슷한 수준 화장지 사용량도 결코 가볍지 않아요 남성은 월 평균 3.4롤, 여성은 월 평균 4.7롤의 화장지 사용 (한국화장실연구소 발표자료) 성인 남성 기준, 한 달 동안 약 959g의 탄소발생 종이타월과 화장지 생산, 환경에 어떤 부담을 줄까? 전 세계적으로 매년 2억7천만 그루의 나무가 종이타월 생산을 위해 벌목 1톤의 종이타월을 만들기 위해 20톤 이상의 물 소모 "종이타월·화장지 소비 증가가 인도네시아, 북미 등 원시림 파괴의 주된 요인" (WWF(세계자연기금)) 부림제지가 제안하는 환경을 위한 실천 종이타월과 화장지를 완전히 안 쓸 수는 없지만 불필요한 낭비를 줄이고, 재활용 가능한 자원으로 만든 제품을 선택하는 것! 그것만으로도 탄소를 줄이고 숲을 지키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선택이 숲과 기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