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심코 사용하는 ‘종이타월과 휴지’…얼마나 많은 탄소를 낼까?

무심코 사용하는 ‘종이타월과 휴지’…얼마나 많은 탄소를 낼까?


무심코 사용하는 ‘종이타월과 휴지’…얼마나 많은 탄소를 낼까?

우리가 일상에서 손을 닦고, 휴지를 사용하고, 쓰레기통에 던지는 행동 하나하나가 **환경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생각해 보신 적 있나요?
헤럴드경제신문이 기후테크 기업 오후두시랩에 의뢰해 발표한 화장실 내 일회용품 사용 실태에 따른 탄소배출량 비교 결과(2025/07/23)를 공유해 봅니다. 현명한 휴지소비 문화와 휴지상식에도 참고가 될만한 자료입니다.


작은 습관이 부르는 큰 탄소발자국

종이타월 1장 = 탄소 7.75g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을 반영한 수치 / 일반적으로 2~3장을 사용하는 경우 1회 이용 시 탄소배출량15.5g 이상)
(참고)손건조기 1회 사용 시 탄소배출량 = 4.3g

공중화장실에서 하루 1,000명이 종이타월을 쓰면?

손건조기 대신 종이타월을 사용하는 공중화장실에 하루 1,000명이 방문할 경우, 약 11.2kg의 탄소가 추가 배출
일회용 플라스틱 컵 169개를 생산·폐기하는 것과 비슷한 수준

화장지 사용량도 결코 가볍지 않아요

남성은 월 평균 3.4롤, 여성은 월 평균 4.7롤의 화장지 사용 (한국화장실연구소 발표자료)
성인 남성 기준, 한 달 동안 약 959g의 탄소발생

종이타월과 화장지 생산, 환경에 어떤 부담을 줄까?

전 세계적으로 매년 2억7천만 그루의 나무가 종이타월 생산을 위해 벌목
1톤의 종이타월을 만들기 위해 20톤 이상의 물 소모

"종이타월·화장지 소비 증가가 인도네시아, 북미 등 원시림 파괴의 주된 요인" (WWF(세계자연기금))

부림제지가 제안하는 환경을 위한 실천

종이타월과 화장지를 완전히 안 쓸 수는 없지만
불필요한 낭비를 줄이고, 재활용 가능한 자원으로 만든 제품을 선택하는 것!
그것만으로도 탄소를 줄이고 숲을 지키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선택이 숲과 기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 지금 당장 실천해볼 수 있습니다.

함께해요, 환경을 지키는 ‘작은 습관’

* 종이타월, 한 장만 사용해요
* 휴지는 꼭 필요한 만큼만 사용해요
* 재활용 원료로 만든 휴지를 선택해요
* 습관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환경을 지킬 수 있어요

#탄소배출 #친환경화장지 #친환경휴지 #친환경핸드타올 #친환경종이타올 #친환경종이타월 #친환경핸드타월 #부림제지 #휴지상식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부림제지 네이버스토어 우휴상점, 빅파워등급으로 점프업

부림제지 핸드타올 포장작업이 힘든 이유